이 글은 엄밀히 말하면 유동 IP를 고정IP로 바꾸는 법은 아닙니다. 다만 일반 인터넷 서비스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유동 IP 시스템에서 iptime 공유기의 고급 기능인 DDNS를 활용하여 


유동 IP를 고정된 IP처럼 활용할 수 있도록 도메인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한 글입니다.


이 글은


- 집에서 개인 서버나 NAS를 운용하고 싶은데, 고정IP 사용비는 부담이 되고, 활용이 가능한 iptime 공유기

(혹은 DDNS를 지원하는 어떠한 공유기라도 가능)를 갖고 계신 분


- 개인 호스팅 게임 서버 (마인크래프트 등의 기타 오픈 서버)를 운용하려는데 매번 ip주소가 바뀌어서 

할당이 귀찮으신 분들


을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작성자의 경우 서버 공부를 위해 직접 제작한 우분투 서버를 밖에서도 접속할 수 있도록 만들고 싶었습니다.


하지만 저희 집의 경우 일반 인터넷 서비스 사용자들과 동일하게 유동 IP를 할당받는 구조였습니다.


따라서 접속이 쉽도록 도메인 주소를 할당받아 IP를 리다이렉트 하더라도,


인터넷 서비스 업체에서 IP를 재 할당해서 IP주소가 바뀌게 된다면


해당 IP 주소를 다시 알아내기 전 까지는 도메인 주소를 활용할 수 없게 됩니다.


물론 한번 연결된 IP 주소가 바뀌는 일은 많이 없지만,


- 연결된 네트워크가 물리적으로 잠시 연결이 중단되는 경우(데이터 케이블이 분리되거나 정전 등의 이유로)


- 서버나 PC가 재부팅 되어 네트워크 연결이 다시 진행되는 경우


- 인터넷 공급 업체에서 IP 재할당을 실행한 경우


사용중이던 IP 주소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물론 매일 아침 집에서 나가기 전에 IP주소를 확인하고 외출한다면 큰 문제는 없겠지만 우리는 이런 귀찮음을


참을 수가 없죠.


하지만 고정 IP는 기업회원이 아니면 할당해 주지 않아서 일반 가정에서는 사용하기가 어렵습니다.


이 과정을 DDNS 기능이 있는 공유기를 활용하면 쉽게 해결이 가능합니다.



DDNS는 Dynamic Domain Name System으로 DNS를 동적으로 할당해주는 서비스입니다.


외부 IP가 변경되더라도 공유기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으면 


해당 DDNS 주소를 외부IP로 할당하여 내부 IP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림으로 보면 이렇게 볼 수 있겠네요.






그럼 이 DDNS 설정을 해보도록 합시다.


우선 공유기 설정에 들어갑니다. 해당 공유기가 연결되어 있는 아무 pc에서 게이트웨이 주소를 확인합니다.


시작 - 실행 (단축키 윈도우 R) 


실행창에 cmd를 입력하여 명령 프롬프트 창을 띄웁니다.


ipconfig 명령어를 통해 게이트웨이 주소를 알아냅니다.



제가 사용하고있는 환경에서는 192.168.0.1이 되겠네요.


이제 아무 웹 브라우저나 켜서 해당 IP주소에 접속하여 공유기 환경설정 메뉴로 접속합니다.


공유기 설정에 따라 알맞은 관리자 이름과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공유기 옵션에 접속하도록 합시다.


공유기 비밀번호는 기기 하단에 부착되어있는 경우도 있고 기본 설정되어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관리 옵션에 접속합니다.


펌웨어 버전 확인


펌웨어 9.52 미만 버전에 대한 DDNS 서비스 중단 안내


 

이전 버전의 DDNS에서 치명적 결함이 발견되어 펌웨어 버전 9.52 미만의 환경에서는 DDNS가 아예 차단되어버립니다. 


펌웨어 버전이 구버전인경우 하단 업그레이드 유틸리티로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꼭 진행해줍시다.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하지 않으면 추후 클라이언트 접속 차단 메시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펌웨어 버전이 정상이라면 이제 DDNS를 설정해주도록 합시다.


좌측 특수기능 하단에 DDNS 설정을 통해 접속하면 DDNS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 공급자는 ipTIME DDNS를 이용하도록 합니다.


호스트 이름은 자유롭게 사용할 주소를 입력해주도록 합니다. 다만 반드시 test.iptime.org 와 같이 .iptime.org 로 끝나야 합니다.


따라서 iptime 공유기를 이용한 모든 DDNS 주소는 저렇게 .iptime.org 형식을 갖게 됩니다.


사용자 ID는 이메일 주소를 작성하시면 되는데, 따로 인증절차는 없지만 추후 사용자 암호를 잊어버렸을 경우


암호를 확인하는 방법이 이 방법 뿐이기 때문에 본인 메일주소를 정확히 입력해 주도록 합시다.


모든 입력이 끝나면 추가 버튼을 통해 계정을 등록합니다.


접속상태가 위 사진과 같이 정상 등록으로 변경되면 성공입니다.


등록에 잠시 시간이 소요되므로 몇 분 정도 기다려보는게 좋습니다.



이렇게 되면 DDNS 설정은 끝났습니다.


이제 외부 IP가 얼마든지 변경되더라도 해당 DDNS 주소(___.iptime.org) 로 접속하게


되면 해당 IP주소로 리다이렉팅 되게 됩니다.


하지만 서버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포트포워딩이 필요합니다.



포트포워딩이란?


해당 IP로 접속을 했을 때 어떤 포트를 통해 통신을 할 것이냐 하는 것으로, 각 포트마다


특정한 용도가 정해져 있는 경우도 있고, 자유롭게 배분하여 사용할 수 있는 포트가 있기도 합니다.



- 사용할 서버가 한 개일 경우



공유기에 물려있는 서버가 한개일 경우 간단히 DMZ 설정을 통해 포트포워딩이 가능합니다.


이 기능의 경우에는 따로 포트포워딩이 되어 있지 않으면,


해당 내부 IP주소로 모든 포트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제가 사용하는 우분투 서버의 경우, SSH 통신을 위한 22번포트, Https 프로토콜을 사용하기 위한 443번 포트 등


필요한포트가몇 가지 있으므로 DMZ를 통해 전부 개방하여 주도록 했습니다.


내부 IP주소에 서버로 쓸 IP의 내부 주소를 적어 줍시다.



 - 사용하는 서버가 여러개거나 직접 포트포워딩을 할 경우



좌측 메뉴의 포트포워드 설정 메뉴에서 직접 포트를 개방해 주도록 합시다.


이 경우 사용하는 포트마다 각 내부 IP를 다르게 설정하여 용도에 맞는 설정이 가능합니다.



이렇게 하면 모든 작업이 끝났습니다.


아이피타임에서 제공하는 DDNS를 통해 유동IP를 마치 고정IP와같이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 보았습니다.


직접 외부 IP를 통해 만든 DDNS로 접속하여 접속이 잘 되는지 확인만 해 보면 되겠네요.

'IT > 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텔 맥 미니에 우분투 설치하기  (0) 2023.12.13

+ Recent posts